온누리상품권 현금교환 안내

반응형

저는 최근 감사하게도 온누리상품권을 선물 받았습니다. 그런데 조금은 낯선 상품권이어서 어디서 어떻게 써야할지 몰랐고 차라리 이걸 현금으로 바꿀 수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에 온누리상품권 현금교환 방법에 대해 검색을 하게 되었습니다.

 

 

아마 저처럼 일부의 수수료를 지불하더라도 불필요한 상품권을 가지고 있는 것보다 낫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실 것입니다.

 

 

그 분들을 위해 작성했습니다.

 

 온누리상품권 구입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의 수요 진작을 위한 목적으로 발행한 상품권입니다.

 

 

2009년 7월 처음 발행되었고 지류상품권 외에도 전자상품권, 모방일상품권 종류도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류의 경우 5천원권, 1만원권, 3만원권이 있습니다.

 

 

온누리상품권은 지류 상품권의 경우 총 14곳의 금융기관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전자상품권은 우리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기업은행, 농협, 비씨카드에서만 구입 가능하고, 모바일 상품권은 은행 이용이 가능한 간편결제앱애서 가능합니다.

 

 

전통시장 통통 사이트에서 구매지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시/도 - 시/군/구만 검색해도 해당 지역 안에 온누리상품권 구입이 가능한 지점이 list up되기 때문에 자신이 구매하기 가장 편한 곳을 방문하시면 됩니다.

 

 

현금구매시 5%의 할인을 적용받을 수 있는데, 이때 본인 신분증을 제시해야 합니다. 대리구매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구매한도는 1인당 월 30만원까지이고 법인은 할인도 한도도 없습니다. 상품권 취소는 당일 판매점에서 본인만 할 수 있습니다.

 

 온누리상품권 사용 

 

 

온누리상품권 사용처는 전국 전통시장 및 상점가, 상권활성화구역 내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스티커가 붙은 곳입니다.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은 전통시장 통통 홈페이지에서 조회도 가능합니다. 상품권은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품권의 60% 이상을 사용할 경우 잔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류상품권은 가맹점에서 잔돈으로 거슬러 받을 수 있고, 전자상품권은 액면금액 60% 이상 사용 후 구매 은행에서 잔액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온누리상품권 잔액 확인은 카드 하단에 BC카드 마크가 있다면 BC 카드 홈페이지 ->카드 -> 선불카드 -> 전자상품권 -> 잔액환불신청 접속 또는 ARS : 1588-4000 : 서비스코드 '3'->선불카드 '6' 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카드 하단에 신협 마크가 있다면 ARS : 1577-5500 : 서비스코드 '1'->온누리상품권 '4' ->온누리전자상품권 잔액조회 '4'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품권은 상품으로 교환하는 시점에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연말정산을 받을 수도 있는데, 국세청에서 등록한 전통시장, 등록 지번 내의 점포에서 사용한 경우 가능합니다. 이 확인은 국세청 홈텍스에서 가능합니다.

 

 온누리상품권 현금 교환 

 

 

 

온누리상품권 현금교환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역시 상품권을 매입하는 곳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물론 수수료가 있고 시세는 조금씩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온누리 상품권의 경우 수수료가 6% 수준입니다. 따라서 1만원권을 현금으로 교환한다면 600원 정도가 빠지는 9,400원 정도에 교환할 수 있습니다.

 

 

개인간 거래를 통해 온누리상품권 현금교환도 가능합니다. 검색 후 몇 개의 게시글만 확인하면 어느 정도 수준에 거래가 되는지 확인이 됩니다. 수수료율은 상품권 전문 매입업체와 큰 차이가 없지만 번거로움을 감수할 의향이 있다면 비교 후 교환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지금까지 조금은 낯선 온누리상품권에 대해 살펴보고 현금교환하는 방법까지 배워봤습니다.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온누리상품권을 많이 사용해야겠지만 사용할 일이 없다면 현금으로 교환해 사용하는 것도 현명한 생활의 팁이 아닐까 싶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